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(355)
2022.09.14 aws 도메인등록 route53 aws 에서 도메인을 사자 ~~ ​ 뭐든 한곳에서 하는게 편한법 ​ ​ 콘솔메인 접속 좀 내려보면 ​ ​ 원하는 도메인 입력후 확인선택 ​ ​ ​ ​ 설명 한번 읽어주고 자동갱신 하지뭐 선택할거 선택하고 주문완료 ​ 진행중 메시지 한번 읽어주고 닫기 선택 ​ 도메인 등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 ( 돈 벌어서 감사합니다 라고 들리는군 ) ​ 도메인으로 이동 선택 ​ 진행중 상태 확인 ​ 이전단계에서 최대 3일 걸릴수 있다하니 기다려보자 오늘은 여기까지 ​ 끝!!!
2022.09.14 aws 탄력적ip aws 탄력적ip ​ 탄력적 ip??? 용수철처럼 튀거나 팽팽하게 버티는 힘이 있는 ip 상황에 따라 알맞게 대처하는 ip ​ 사용자 이용자 입장에서는 공인 고정 ip aws 입장에서는 상황에 따라 알맞게 대처하는 ip 인듯 싶다. ​ 사용용도는 서버를 재시작 하더라도 ip가 바뀌지 않기위해 사용한다. 비용은 각자 알아보도록 하자 ​ ​ ​ ​ ​ ​ ​ 생성완료 ​ 자 이제 ip와 인스턴스를 연결을 해야된다. ​ ​ 끝!! ​ 이제 ssh , ftp , db 접속시 ip 입력한 부분을 탄력적ip로 변경해서 접속해야 한다.
2022.09.08 aws ssh 접속 aws ssh 접속 ​ ​ aws 로그인 이후부터 ​ ​ 인스턴스 목록이 이상하다면 지역확인을 해보자 여러가지 방법중 난 ssh 클라이언트 방법을 사용함. ​ 접속 방법과 접속 정보를 안내해 준다. ​ ​ ssh 접속 툴을 이용해 접속해 보자 ​ 사용툴을 mobaxterm ​ ​ ​ 끝 !! ​ ​ ​ ssh 접속을 키로 하기 때문에 ​ shell>sudo su ​ 하면 root가 된다.
2022.09.08 aws 인스턴트 생성 aws 인스턴스 생성방법 ​ 설치 os : centos7 ​ ​ https://aws.amazon.com/ 접속 후 - 콘솔 로그인 클라우드 서비스 |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| Amazon Web Services Amazon Web Services는 안정성이고 확장 가능하며 저렴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무료로 가입할 수 있으며 요금은 사용한 만큼 지불하면 됩니다. aws.amazon.com ​ ​ 콘솔 홈 화면 ​ 살짝 내려다 보면 ​ ​ 지역을 확인 하고 다른지역 하고 싶으면 지 지역선택 먼저 하자 ​ 지역에 따라 속도 차이가 난다. ​ 허전한 인스턴스 목록을 확인후 인스턴스 시작 선택 ​ os를 선택할차례 난 리눅스 centos7 를 설치할 것이니 검색창에 centos7 입력후 엔터 ..
centos7 nslookup,bind-utils nslookup ​ Name server lookup 의 약자 ​ name server 관련한 조회를 할 수 있는 명령어 ​ centos에서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면 ​ bind-utils 설치하자 ​ shell> yum install -y bind-utils ​ 설치완료후 ​ nslookup 입력 google.com ​ 아래와 같이 구글 아이피가 나온다. ​ ​ nslookup 는 보통 도메인에 대한 몇가지 정보나 네트워크가 정상동작하는지 테스트 할때 사용한다. ​ ​ 이건 네이버 아이피가 네개지요
centos7 패키지 설치여부 확인 centos7 패키지 설치여부 확인 ​ ​ rpm -qa | grep 패키지명 ​ 예시로 net-tools 설치 여부를 확인해 보자 ​ shell>rpm -qa | grep net-tools ​ 설치된경우 버전을 알려준다. ​ 미설치의 경우 아무것도 안나온다. ​
centos7 yum yum ​ ​ Yellodog Update Modified 의 약자 ​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설치 관리 도구 ​ 기존에 rpm 명령어가 해결하지 못한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해결함. ​ * 패키지 의존성이란? - 2번 패키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1번 패키지가 설치가 되어있어야한다. ​ yum은 2번 설치하면 1번이 필요한경우 1번도 자동으로 설치 해버림. ​ ​ 명령어 구조 shell> yum 옵션 명령 패키지명 ​ 예시 shell> yum install -y net-tools shell> yum install -y bind-utils shell> yum install -y rsync shell> yum install -y wget shell> yum install -y cron..
software , hardware !!! software , hardware 란!! ​ ​ 제품을 만져서 부드러우면 software , 딴딴하면 hardware ​ 가 아니라..... ​ ​ ​ hardware - 컴퓨터를 구성하는 물리적 장치. ​ ​ software - hardware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. ​